티스토리 뷰

반응형

0. 구린 학교 컴퓨터

많이 사용하는 팀즈(teams)나 원노트(onenote)의 단점은 하면 학교 컴퓨터에서 실행하기에 너무 무겁다는 점이다.

그래서 www.office.com 에서 웹으로 실행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SSD 사용하는 용량이 부족한 컴퓨터에 파워포인트나 엑셀을 설치하지 않고,

인터넷이 항상 되는 환경이라면 웹으로만 작업하는 것도 좋은 방법일 수 있다.

 

 

 

1. 팀즈 설치

팀즈는 윈도우10에 기본으로 설치돼있기도 하고 아니면 www.office.com 에서 Team를 선택하면 웹 버전 팀즈가 뜬다.

여기서 왼쪽 아래에 다운로드 버튼을 누르면 설치할 수 있다.

 

 

 

2. 팀 만들기

팀즈는 팀을 누군가가 구성을 해주어야 한다.

팀즈가 운영되는 기본적인 틀은 네이버 밴드와 비슷하다.

우선 팀을 만들자.

 

처음 가입할 때부터 교사 인증코드를 넣고 가입해야 되는 이유 중에 하나를 다음 그림에서 알 수 있다.

교사로 가입을 해야만 이런 네 가지 종류의 팀을 만들 수 있고, 과제나 수업용전자필기장 같은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교사들끼리 연구회를 만든다면 '전문 학습 커뮤니티', 학교내에 메신저 역할을 하려면 '직원'을 선택하면 된다.

기본적으로 학생 관리와 수업에 사용하기 위한 팀을 구성하기 위헤서 제일 왼쪽에 '수업'을 선택한다.

 

다음으로는 팀 이름과 설명을 추가하면 되는데 이름은 우선 영어로 설정하고 팀을 만든 후에 한글로 변경하는 것이 좋다.

영어로 팀을 생성하면 팀의 url이 이쁘게 만들어지지만, 한글로 만들면 좀 지저분해진다.

그런거 신경 안 쓴다면 처음부터 그냥 한글로 만들어도 된다.

 

3. 멤버 추가

팀을 생성할 때부터 멤버를 추가할 수 있지만, 나중에 추가할 수도 있다.

기본적으로 학생들에 대한 신뢰가 없기 때문에...

학생들에게 이 팀을 찾아서 가입하라고 하기보다 학생들 아이디를 구글설문지 같은 것으로 먼저 조사한 후에 교사가 직접 멤버로 추가해주는 게 마음이 편하다.

 

이름으로 검색할 수도 있지만 동명이인을 잘못 추가하지 않으려면 아이디로 검색하는 게 안전하다.

 

 

 

반응형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