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육과정에서 가장 먼저 나오는 성취 기준은 다음과 같다. [12인수01-01]인공지능의 발전에 기여한 역사적 사례에서 수학이 어떻게 활용되었는지를 이해한다. 인공지능의 역사는 컴퓨터의 역사와 함께 하지만, 우리 삶에 유의미하게 다가오게 된 것은 2010년대 이후다. 역사를 나누는 것은 학자마다, 교과서마다 조금씩 다르고, 미래엔 교과서에서는 다음과 같이 분류하고 있다. 1. 인공지능의 태동기 : 1950년대 2. 인공지능의 황금기와 1차 암흑기 : 1960년대~1970년대 3. 인공지능의 부활기와 2차 암흑기 : 1980년대 4. 인공지능의 부흥기 1990년대 참고할 만한 사이트 1. 삼성 SDS 홈페이지에 잘 정리가 되어있으니 참고하면 된다. 2. 위키피디아에는 보다 전문적인 내용이 많으니까 깊이 알고..

교육과정은 제일 처음 역사를 가르치게 돼있지만, 많은 책에서 대부분 인공지능에 대한 개념을 먼저 설명하려고 한다. AskMath 인공지능수학 모듈형 교재를 AskMath에서 다운받을 수 있고, 수업에 활용하면 좋다 이 자료 36쪽에 '인공지능이 무엇인가?' 라는 질문이 있다. AskMath에는 AI웹실험실 이라는 페이지가 있어서 뒤에서도 자주 등장할 예정이다. 학습지 이 이 내용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간단한 학습지를 만들었다. 질문은 짧게, 답은 길게 지능 학생들은 저마다 다른 답을 내놓을 수도 있다. 위키피디아에서는 지능을 지능(智能) 또는 인텔리전스(영어: intelligence)는 인간의 지적 능력을 말한다. 지능은 심리학적으로 새로운 대상이나 상황에 부딪혀 그 의미를 이해하고 합리적인 적응 방법..
모두 다른 교과서 원래 교육과정을 잘 보는 편이 아니다. 인공지능수학을 2021년 2학기에 공동교육과정을 개설하면 교과서 선정을 하는 과정에 교과서 5종을 살펴봤다. 교과서마다 단원 제목과 내용 구성이 다르고, 난이도나 깊이도 제각각이다. 그래서 교육과정을 먼저 찾아봤다. 처음 만들어진 교과이고, 내용에 대한 합의가 충분하지 않아서 출판사마다 교육과정을 해석하는 방법이 모두 다르다. 교육과정, 내용 체계 2021년 9월에 고시된 교육과정에서 인공지능수학의 내용체계는 다음과 같다. 영역/핵심 개념 일반화된 지식 내용 요소 관련 학습 요소 인공지능과 수학 수학은 인공지능의 발전을 이끌어 왔으며, 인공지능 기술 전반에 활용되고 있다. ∙ 인공지능과 관련된 수학 ∙ 진리표∙ 순서도 자료의 표현 수와 수학 기호는..
'인공지능수학' 과목이 2021년 올해 여러 학교에서 개설되면서 관련된 연수가 내가 소속된 교육청에서도 여러 열리고 있다. 연수를 들은 선생님들의 반응은 "과학책 같다.", "못 가르치겠다.", "재밌긴 한데 새로운 내용이 너무 많다." 등 이다. 수학교사들을 힘들게 하는 것은 수학의 내용의 난이도는 아니다. 인공지능수학에 나오는 수학은 집합, 벡터, 행렬, 미분 정도라서 이걸 이해 못하는 선생님들은 없다. 수학 교사에게 '수학을 배우는 목적이 무엇인가?' 물으면 논리력, 심미성 등 수학교육론 책에 나올 것 같은 이유를 잔뜩 제시한다. 그들은 진심으로 그렇다고 생각하겠지만, 수학교사가 아닌 사람 중에 이에 동의하는 사람이 몇이나 될까. 대학에서 대수학, 해석학, 위상을 조금 더 배웠다고, 수능 모의고사를..
- Total
- Today
- Yesterday
- 면세점
- Teams
- 멜론VIP
- 준비서면
- 원룸
- 팀즈
- 캐리어
- 일정
- 보홀
- 휴직
- 경매
- 항소
- 공인중개사
- 세부
- 망고
- 마인크래프트
- 인공지능수학
- 손해배상
- 과실비율
- 공제사업
- 대학원
- 한국공인중개사협회
- 연수휴직
- 교육과정
- 전세금반환소송
- 개새끼
- office365
- 멜론
- 판례
- 나홀로소송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